T'story - 하고 싶은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story - 하고 싶은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0)
    • Chemistory - 소소한 화학 이야기 (12)
    •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8)
    • Rinchelin - 소소한 맛집 이야기 (13)
    • 길은 책에 있다 - 소소한 책 이야기 (6)

검색 레이어

T'story - 하고 싶은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 [리튬] 하얀 석유의 시대

    2022.10.31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7] Darkness

    2021.12.15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6] 민트초코와 노벨상

    2021.11.30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5] 도핑, 그 달콤한 유혹

    2021.09.29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4] 매운 맛 좀 볼래?

    2021.08.23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3] 아주 커다란 모기가 내 발을 물었어!

    2021.08.01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2] Oh, the humanity!

    2021.07.19 by 오가네손

  • [세상물정 #1] 커피를 너무 많이 마셨나봐요~

    2021.06.28 by 오가네손

[리튬] 하얀 석유의 시대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3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하얀 석유의 시대 석유는 현대 산업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자원입니다. 현대 도시의 도로를 점거하며 달리고 있는 네 발 달린 자동차의 훌륭한 먹이이기도 하지만, 염료나 플라스틱 등 각종 제품들의 원료로서도 높은 가치를 가진 물질이죠. 이 때문에 사람들은 석유를 두고 ‘검은 황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실제로 석유를 판매하여 벌어들이는 자본을 의미하는 ‘오일머니’의 힘으로 국가 전체의 재개발을 진행하기도 하고, 석유가 외교적 무기로 활용되어 세계 경제에 타격을 입히기도 하는 등 그 위력은 어마어마한 수준입니다. 심지어 과학기술사를 연구하시는 학자 분들은 인류가 전기화와 동시에 석유라는 자원을 사용하 시작함으로써 현대..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2. 10. 31. 16:36

[세상물정 #7] Darkness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문득 드는 생각인데 저 신발이 더 비쌀까요, 아님 이 신발을 칠하기 위해 바른 반타블랙 도료 값이 더 비쌀까요? ▶ 세계적 거장의 돌발 행동? 2012년 런던올림픽 당시를 기억하시는 분이라면, 런던 한복판에 우뚝 솟아있던 붉은 철골 구조물을 떠올리실 수 있으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르셀로미탈 오빗(ArcelorMittal Orbit)' 이라는 이름의 이 구조물은 '세상에서 가장 거대한 슬라이드(미끄럼틀)'라는 독특한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데요. '빅 벤(Big Ben)'에 이어 런던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수 있을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된 작품이었죠. 물론 지금은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힌 것 같지만요... 아무..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12. 15. 15:21

[세상물정 #6] 민트초코와 노벨상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민트초코는 품격 있는 고급 디저트입니다. 민초단이여 영원하라!! ▶ ‘천상의 맛’을 즐기는 날 세상에는 온갖 ‘데이’들이 존재합니다. 2월 14일은 여자가 연인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는 ‘밸런타인데이’이고, 3월 14일은 반대로 남자가 연인에게 사탕을 선물하는 ‘화이트데이’라고들 하죠. 4월 14일은 초콜릿이나 사탕을 받지 못한 슬프고도 찬란한 솔로들을 위한, 자장면과 같은 검은 음식을 먹는 ‘블랙데이’, 11월 11일은 지인들에게 숫자 1을 닮은 막대 과자를 선물하는 ‘빼빼로 데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문제를 하나 내볼게요. 2월 19일은 무슨 ‘데이’일까요?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응? 그..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11. 30. 22:45

[세상물정 #5] 도핑, 그 달콤한 유혹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6분 2초부터 소개되는 이 이색직업은 바로 '말 소변을 받는 직업'입니다. 경마에 참여하는 경주마의 도핑 테스트에 쓰일 오줌을 받는 것이죠. 사람만 도핑을 하는 건 아니거든요... ▶ 도핑, 반복되는 오명의 역사 2021년 8월 6일, 고대하던 대한민국 여자배구 대표팀의 브라질과의 도쿄올림픽 4강전이 열리던 날, 돌연 브라질 여자배구 대표팀의 한 선수가 도핑테스트에 적발되었다는 뉴스가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인 ‘오스타린(Ostarine)’이 검출되었다는 것이죠. 비록 이로 인해 경기 일정이 변동된다거나 몰수패가 이루어지는 등의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입에 ..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9. 29. 17:23

[세상물정 #4] 매운 맛 좀 볼래?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썸네일은 핫소스라고 되어있는데, 실은 '순수하게 캡사이신만을 농축한' 결정을 먹는 영상입니다. 음... 약간 가학적이긴 한데 예능에서 매운 음식 먹기 도전하는 걸 재밌게 보시는 분들이시라면 이것도 재미있으실 수도....? ▶ 치킨의 뒤를 이을 마라탕? '마세권’이라는 신조어가 있습니다. ‘역세권’에서 뜻을 차용한 단어로, ‘마라탕을 판매하는 점포가 근처에 존재하는 입지’를 의미하는 말인데요. 최근 몇년 간의 대한민국의 외식 산업에 대해 논할 때 ‘마라’는 빠질 수 없는 키워드일 것입니다. 위와 같은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탄탄한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마라’ 요리들은, 2018년 이후 ..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8. 23. 21:09

[세상물정 #3] 아주 커다란 모기가 내 발을 물었어!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우선 시원하게 웃고 시작합시다! 유튜브에 원작 오피셜 동영상이 없는 게 아쉽군요.... ▶ 모기가 사라지는 그날까지? 푹푹 찌는 더위와 기분까지 눅눅해지는 장마, 한 번씩 강풍과 폭우로 쑥대밭을 만들어놓는 대풍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여름을 짜증나게 하는 요인을 꼽으라고 하면 모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입니다. 잠을 자려고 누울라 치면 귓가를 맴돌며 경박하게 '엥엥'거리는 것은 물론, 방심한 사이에 피를 쪽 빨아먹고 도망가는 모기는 여간 성가신 것이 아니죠. 모기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인간의 기술은 나날이 발전해왔습니다. 약을 풀거나 향을 피우는 것은 기본이고 전기가 흐르는 파리채, 레이저까지 활용하고 있죠. ‘모..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8. 1. 22:39

[세상물정 #2] Oh, the humanity!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레드 제플린'의 1집 앨범 의 커버에는 폭발하는 순간의 힌덴부르크호가 담겨 있습니다. 애초에 '제플린(Zeppelin)' 자체가 힌덴부르크호와 같은 형태의 비행선을 지칭하는 말로, 이를 최초 개발한 '제플린 백작'에서 따온 이름이죠. ▶ 나치의 자존심, 폭발하다! 1937년 5월 6일, 미국 뉴저지 주 레이크허스트 공항, ‘하늘 위의 타이타닉’이라 불리던, 나치 독일의 상징과도 같았던 비행선 LZ 129 힌덴부르크호는 상공을 유유히 비행하며 착륙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수많은 인파가 이 거대한 비행선의 우아한 착륙을 보기 위해 몰려들었죠. 그러나 그들의 표정은 이내 경악으로 물들고 말았습니다..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7. 19. 16:50

[세상물정 #1] 커피를 너무 많이 마셨나봐요~

[※ 본 컨텐츠는 한국화학연구원 제2기 케미러브 서포터즈 활동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커피와 관련된 다른 BGM을 틀고 보셔도 좋습니다. 예컨대 10cm의 라든가 장얼의 라든가... ▶ 대한민국은 지금, '커피 공화국' 2018년 대한민국 커피산업의 연간 매출액은 약 43억 달러로, 미국과 중국의 뒤를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2019년 7월 기준 국민 1인당 연평균 353잔의 커피를 소비하며, 전국의 커피전문점 점포수는 83,692 곳으로, 이는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 수의 약 2.3배에 달하는 수치이죠. 여기에 연 1조 원 규모에 육박하는 인스턴트 스틱 커피 시장까지 고려하면, 대한민국이 ‘커피 공화국’이라는 말은 정말 과장이 아닌 듯 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사람들은 ..

세상물정 - 소소한 물질 이야기 2021. 6. 28. 17:1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T'story - 하고 싶은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